신체화 장애 신체화 증후군
신체질환을 시사하는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신체질환이 아닌 심리적 요인이나 갈등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는 증후군이다. 수년에 걸쳐서 다양한 신체 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하지만
내과적으로는 아무런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며, 심리적 스트레스가 주원이으로 알려져 있다.
30대 이전의 여성에 자주 발병하며, 여성 100명 중 1~2명에게서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에는 드물게 나타난다.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족력에 있어서 환자의 어머니나 여자 형제 또는 딸에게서 일어나는 빈도가
10~2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환자 개인이 책임져야 할 어려운 일을 당햇거나 배우자에 대한 분노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등의 정신적·사회적 요인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는 연극적이고 모호하고 과장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서 여러 진단적 검사를 받게되지만
이러한 증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신체적인 질환은 발결할 수 없다. 증상은 운동마비·실명과 같은 신경과적인 증상을
비롯하여 복통과 같은 위장증상, 월경통, 불감증, 현기증 및 통증 등이 나타나고,
여기에 수반하여 불안장애·우울증·약물남용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보통 몇 개월 동안 새로운 증상이 나타났다가
다음 몇 개월 동안은 증상이 약화되는 것이 특징이며, 점점 신체가 쇠약해진다. 일단 이 증후군이 발생하면
증상이 전혀 없는 기간이 거의 없다.
특히 화자로 하여금 이같은 장애가 정신적인 원인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에 따라서 항불안제·항우울제 등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1 신체화장애(신체화증후군) 일어나는 원인
마음은 뇌의 영역이므로 뇌에서만 생각하고 느낀다고 생각하는데, 최근 몸 전체가 느낀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즉 뇌에서 생각하고 느긴 것들이 우리 몸에 퍼쳐 있는 신경계를 타고 몸 전체에 전달된다는 뜻이다.
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억제해도 몸에 기억된 생각과 감정까지 억압 할 수 없다.
실제로 몸이 아픈데 이상이 없다며 정신과로 가보라고 할때가 있는데,
즉 마음의 문제로 신진대가가 원활하지 않는 현상이 심하면 신체화장애라고 한다.
이 말은 곧 심리적 원인으로 눈이 멀거나 몸을 움직잊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몸의 신호를 잘 받아들이면 오히려 자기 마음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는지 알수 있는데,
이를 무시하거나 아예 감정 자체를 억압하면 몸과 마음에 단절이 일어나 신체화장애가 일어나는 것이다.
즉 몸이 보내는 신호를 제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
행동주의적 입장
행동주의적 입장에서는 신체화장애는 신체적 증상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강화된 것이라고 본다.
우연히 신체적 증상을 나타낸 사람은 주변으로 부터 받게 되는 괌심과 애정의 사회적 강화에 의해서 증상을
지속 시킬 수 있다. 또한 몸이 아프면 힘들게 완수해야 되는 의무와 책임으로부터 면제받게 되는데,
이 역시 신체적 증상에 대한 부적 강화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신체화 경향은 관찰 학습이나 모방학습을 통해
습득될 수도 있다. 어린 시절에 부모나 가족들이 신체화 경향을 나타내게 되면, 아이들이 이를 모방하여
신체화 증상을 나타내고 이에 대해서 여러 가지 경화가 주어지면 지속적 증상으로 발전 할수도 있다.
어떤 장애의 증상 형성을 통해 무의식적 갈등과 불안을 회피함으로써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일차적 이득과 구별하여, 이차적 이득은 증상을 통해 얻게 되는 부수적인 이득을 의미한다
[신체화 증상의 강화 요인 및 이차적 이득]
1. 불쾌한 감정을 신체증상으로 대치함으로써 불쾌감을 회피할수 있다
2. 신체증상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자기가 괴롭고 고통스럽다는 것을 전달할 수 있다.
3. 신체적 증상에 의한 자기처벌을 통해 죄책감을 호소
4. 신체적 증상의 호소를 통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5. 현실적인 의무와 책임에서 해방될 수 있다
6. 신체증상을 통해 경제적 이득(피해 보상금 등)을 얻는 경우
임상양상
많은 신체 증상 호소, 오랜 기간 수많은 병원을 찾아다닌 기록이 있다.
가장흔한 증산(구역,구토, 연하곤란, 팔 다리 통증, 호흡곤란, 기억력 저하, 생리불순)
심리적 스트레스나 대인관계 문제가 역력하다
불안, 우울이 흔하고 자살 위협은 많지만 실제 자살은 드물다.
일생 병을 앓아왔다는 믿음이 있다.
극적이고, 감정적이고, 과장된 형태로 묘사하는 경우가 대부분
수줍은 듯 하면서도, 노출이 심한 복장, 유혹적인 자태
의존적이고, 자기 중심적이며, 칭찬을 바라고, 남을 자기뜻대로 조종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다른 정신질환과 자주 동반된다(우울증, 인격장애(특히 반사회성), 물질관련장애, 범불안성 장애
경과 및 예후
만성이고 대개는 점점 심해진다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6~9개월의 기간과 증상이 덜 한 9~12개월의 기간으로 나뉘어 지는 경우가 있다
증상의 악화는 증가된 또는 새로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
진단적 안정성이 높다
자살시도는 흔하지만 성공은 거의 없다
합병증 : 반복적인 수술, 약물 의존, 가정파탄 및 이혼, 자살 시도
치료 방법
1. 비교적 어려우며 정기적으로 의사 한사람이 일관성있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함
2. 환자에게 신체화장애의 속성을 교육시키고 질병 가능성에 대한 환자의 우려를
일관성 있게 안심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3. 신체화 증상의 유발과 관련된 심리적 갈등이나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4. 부정적 감정에 대한 표현을 격려하고 자기주장훈련을 통해 대인관계에서
부정적 감정이 누적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5. 신체적 감각이나 통증에 대해서 환자가 과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신체적 증상을 새롭게 해석하도록 유도한다.
신체화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신체적 감각이나 증상을 해로운 것이며 심각한 질병에 기인한 것이라고
해석함으로 신체감각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강한 통증을 지각하게 된다.
이러한 속성을 잘 이해시키고 신체적 증상에 대한 과장되고
왜곡된 해석을 하지 않도록 대안적인 해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6. 환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이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7. 환자의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의 협조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가 증상을 호소할때 가족이 관심을 기울여 주고 의무나 책임을 면제해 주는 행동을 통해서
환자의 증상을 강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8. 최면 치료
9. 약물 치료
'건강 > 우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증상과 우울증 치료 방법 (22) | 2014.03.13 |
---|